재배기초/마음의 준비

1024_포도의 분류-진정포도아속-동아시아군

은기원 2009. 11. 23. 15:50

포도의 분류 - 진정포도아속 - 동아시아군

 

아시아 동부지역에서도 유럽이나 북미대륙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생대 제3기에 포도속 식물이 번성하였음을 증명하는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빙하기 이후에는 많은 종이 절멸된 것으로 보이나 유럽대륙보다는 훨씬 더 많은 원생종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원생종의 분포는 중국에는 26종 5변종이 분포하고, 일본에는 7종 8변종, 우리나라에도 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중국에서 9종의 새로운 종이 발견되어 동아시아종군은 적어도 40여종 이상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종들은 야생상태의 것을 채집하여 이용하는 정도에 그치고 유럽종이나 북아메리카종군처럼 품종을 육종하거나 개량하는데 거의 이용하지 못하였었다. 최근 이들 야생종의 새로운 가치가 발견됨에 따라 새로운 육종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일부이긴 하나 새로운 품종이 육종되어 발표되고 있다.

종명 학 명 분 포
金재山포도  V. Jinzainensis wang  중국 안미성 
까마귀머루  V. Thunbergii N.  한국, 대만, 중국 
羅城포도  V. Louchengensis wang  중국 광서성 
盧山포도  V. Hui cheng  중국 강서성 
菱葉포도  V. Hancokit Hance  중국 동부 
東南포도  V. Cbuganensis Hu  중국 동남부, 귀주성 
網?포도  V. Wilsonae Veith  중국 하남이하 
머루  V. Coignetiae Pulliat  일본 북해도, 한국 
綿毛포도  V. Retordi Roman  중국 남부, 운남성 
毛포도  V. Quinquanagularis Rehder  중국 황하강 이남, 일본 
美麗포도  V. Bellula(Rehder) Wang  중국 중부, 남서부 
複葉포도  V. Piasezkii Maxinowicz  중국 남부, 사천성 
三出포도  V. Adstrista ternata Wang  중국 절강성 
桑葉포도  V. Ficifolia Bunge  중국, 일본, 한국 
새머루,葛류  V. Flexuosa Thunberg  중국, 일본, 한국 
石門포도  V. Shimenensis wang  중국 호남성 
仙居포도  V. Wentsaiana chiu  중국 절강성 
腺枝포도  V. Adenocluda Handel-Manzetti  중국 호남성 
小果野포도  V. Balansaeana planchon  중국 남부, 베트남 
小葉포도 V. Sinocinerea Wang 중국, 대만
시라가 포도  V. Shiragai Makino  일본 강산현 
신장포도  V. Cbungii Metcalf.  중국 동남부 
아마즈루  V. Saccharifera Makino  일본 
溫州포도  V. Wencbowonsis Ling  중국 절강성 
왕머루  V. Amurensis Rupr.  중국, 한국, 러시아남부 
龍州포도  V. Ficifolioides Wang  중국 광서성 
龍泉포도  V. Longquanensis chiu  중국 절강성 
沅陵포도  V. Yuenlingensis wang  중국 호남성 
유고그라포도  V. Yokogurana Makino  일본 고지현 
絨毛포도  V. Lanata Roxb  중국 남부, 인도 
刺포도  V. Davidii(Rom. Du Caill.) Foex  중국 황하강 이남 
浙江포도  V. Zhejiangadstricta Chiu  중국 절강성 
井崗포도  V. Jinggangensis wang  중국 강서성 
秋포도  V. Romaneti Roman  중국 
狹葉포도  V. Tsoii Merril  중국 동남부 
湖北포도  V. Silvestril Pamp  중국 호북성 
紅葉포도  V. Ergthrophylla wang  중국 강서, 절강성 
華東포도  V. Seudoarticulata Wang  중국, 한국 남부 
華北포도  V. Bryonifolia Bunge  중국 북부 
樺葉포도 V. Betulifolia Diels&Gilg. 중국 서남부, 동남아

 

동아시아군은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자생하는 포도종을 지칭하는 것이다. 보통 과실의 품질은 떨어지나 내한성이 강하고, 내병충성이 강하여 육종 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으며, 몇몇 종은 가공용 및 건강용으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동아시아군은 미주종과 빙하기시대 이전에는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머루(V. Coignetiae)는 미국종(V. Labrusca)과 같이 연속적으로 덩굴손이 착생되며, 아시아지역에서는 없었던 포도노균병(Plasmopara Viticola Berl. & Toni.)의 저항성인자가 동아시아군의 포도 종에 있는 것이 이 이론의 증거가 되고 있다.

 

V. Amurensis(산포도, 왕머루)

 

중국 화북, 동북 지역, 한국, 러시아 원동 등의 지역에 분포한다. 자웅이주이며 과방은 작고 느슨하다. 과립은 작고 원형, 자흑색이며 당도는 낮고 고산이며 수확량은 적다. 삽목 발근력이 낮으나 내한성은 극강(Vitis속 중 최고 육종 자원)이다. 중국 동북지역에서 대대적으로 양조하고 국내 양조 관심도 급등하고 있다. 양조시 색이 아름답고 투명하며 독특한 풍미로 주질이 우수하다. 길림성 백두산 포도주공장에서 자웅동주며 고당, 저산 품종인 ‘雙慶’을 선발하였다.

 

V. Thunbergii(까마귀머루)

 

중국 화북, 화남, 화중, 한국, 일본에 자생한다. 자웅이주이고 과방과 과립은 극히 작다. 내한성은 강하고 결과지율이 우수하며 풍산성(신초당 5개의 과방까지 착립)이다. 육종소재이다.

 

V. Davidii

 

중국 섬서, 감숙, 화중, 화남, 운남, 귀주에 분포하며 자웅이주이고 과방은 약 100g 정도로 비교적 크다. V. Vinifera의 내습성 대목 또는 내습성, 내병성(노균병) 품종 육종 소재이다.

 

V. Flexuosa(새머루)

 

중국 하남 강서, 절강, 호북, 운남, 광동 지역 및 한국에 분포한다. 내음성과 내습성이 극히 강하다. 대목 및 품종의 고온다습, 습병 저항성 육종 소재이다.

 

V. Quinquangularis

 

중국 태산 이남부터 광서성까지 분포한다. 자웅이주이다. 결과모지에 포복성 모이가 다발하고, 엽형은 열각이 없는 5각형이며 결과력이 우수하고 수확량 많다. 양조용으로 사용되고 새눈무늬병에 극히 강하다.

 

V. Coignetia(머루)

 

한국, 일본에 분포하며 자웅이주이다. 수세는 강하나 목질은 연하고 덩굴손은 불연속이다. 내한성, 내병성은 강하다. 양조용, 내한성 포도 육종 소재이다.

[1024]한국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