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관관리/가지치기

전정 - 결과습성과 전정

은기원 2009. 12. 27. 18:14

포도의 결과습성과 전정

 

포도의 결과습성

 

포도의 눈은 잎 겨드랑이의 분열 조직으로부터 발달한다. 눈에는 잎눈과 꽃눈이 있는데 꽃눈은 꽃송이와 잎이 함께 착생하는 혼합화이며 잎눈은 새 가지에 잎만이 달리나 꽃눈과 잎눈은 외관상 구분할 수 없다. 대체로 혼합화인 꽃눈은 1년생 가지의 마디에 눈이 형성되고 이듬해 봄에 그 눈에서 새 가지가 나오면서 결실하게 된다.

 

 

그러나 2년 이상 묵은 가지는 눈이 착생되지 않으므로 새 가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숨은 눈이 발아된다고 해도 꽃송이가 착생되지 않는다. 포도가 달리는 새 가지를 열매가지라 하고 새 가지가 나온 지난해의 가지를 열매 어미가지라 한다. 열매가지에는 2~3개의 꽃송이가 착생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품종에 따라서는 4~5개의 꽃송이가 착생되는 경우도 있다.

꽃송이는 덩굴손이 변형된 상동기관으로서 새 가지의 셋째 및 넷째 마디에 달리고 다음 다섯째 마디는 거르며 영양상태가 좋으면 여섯째 마디에 달리는 간절성인 경우와 셋째 마디부터 꽃송이가 계속 착생되는 연속성의 형태를 나타낸다.

포도의 꽃눈 분화기는 5월 중 하순경에 새 가지의 밑 부분 2~3 마디부터 분화하기 시작하며 꽃눈의 분화는 수체의 영향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결과습성과 전정

 

당년에 자란 1년생 가지는 내년도의 열매 어미가지가 되며 전정의 대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가지의 꽃눈의 발달은 나무의 세력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품종에 따라 눈 위치별 발달 상태가 다르다. 꽃눈의 발육은 어미열매가지 밑 부분보다 위쪽의 꽃눈이 충실한 것과 기부의 꽃눈도 충실하여 전체적으로 포도송이 착생이 양호 것으로 품종에 따라 다르다.

포도의 전정방법은 열매 어미가지의 꽃눈 위치의 분화 정도에 따라 기부의 꽃눈이 충실한 경우 수형에 따라 단초, 중초, 장초 전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가 단초전정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품종으로 Campbell Early, Tanored, Black Hamburg, Golden Queen, Muscat Hamburg, Muscat of Alexandria, Gros Colman 등의 품종이 해당된다.

기부의 꽃눈 착생이 불량하고 위 부분(7~8마디)의 눈에 꽃눈 착생이 양호한 경우 장초전정을 위주로 하며 거봉, 갑주, Sheridan, Himrod Seedless 등이 해당된다.

또한 Delaware나 M.B.A 등의 품종은 전자와 후자의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다.

유럽종의 경우는 중초전정을 해야 비교적 안정된 결실을 확보할 수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5눈 전정을 할 경우 4눈과 5눈에만 대부분 과방이 형성된다. 과방이 없는 가지는 버리지 말고 그대로 키워서 다음해 결과지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결과지 상승도 방지하도록 한다.

 

단초, 단초 전정

 

단초전정과 장초전정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1~3눈을 남기는 경우를 단초전정, 4~6눈을 남기는 경우를 중초전정, 7눈 이상을 남기는 경우를 장초전정이라 한다. 단, 절단 길이는 남기는 눈보다 1마디 더 긴 길이이다.(희생아 전정)

전정형태 결과 모지당  결과모지간 거리 남기는  적합한 품종
남기는 눈수 신초수
단초전정(강전정) 1~3눈 남기고 끊음 20~25㎝ 1~2 Campbell Early, M.B.A (수세 약한 품종), 적령
중초전정 4~6눈 남기고 끊음 30~50㎝ Niagara, Sheridan
장초전정(약전정) 7~10눈 남기고 끊음 50㎝이상  3~5 거봉계통, Delaware등 수세강한 품종.

  

  가. 단초전정의 장단점

          가) 장점

               - 전정방법이 단순하다.

               - 결실 부위의 상승이 적고 수형의 흐트러짐이 적다.

               - 새 가지의 유인과 착과량 조절이 쉽다.

               - 신초의 세력은 일정치 않으나 과방은 균일하다.

               - 결과지수가 일정하며 과다 결실을 막고 수량이 일정하다.

          나) 단점

               - 수관의 확대가 늦다.

               - 전정의 강약 조절이 곤란하여 수세 조절이 어렵다.

               - 적용할 수 있는 품종이 한정되어 있다.

               - 극단적인 강전정으로 노화가 빠르다.

               - 공간 활용이 불리하다.

               - 신초 유인이 유리하나 바람에 가지가 부러지기 쉽다.

  나. 장초전정의 장단점

          가) 장점

               - 수세에 따라 전정의 강약을 조절하기 쉽다.

               - 충실한 눈을 이용할 수 있다.

               - 수관 확대가 빠르고 결실기 도달이 빠르다.

               -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

               - 덕면 전체 균등이용 가능

               - 나무의 수명이 길다.

               - 세력이 강한 품종의 수세 안정 기능을 한다.

               - 다수확이 가능하다.

          나) 단점

               - 수형이 흐트러지기 쉽다.

               - 결실과다 우려가 있다.

원예연구소외